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겨울철 결로 현상 측정, 방지법 및 결로현상 조치 방법

by notion1772 2025. 1. 19.

 

 겨울철 가정 혹은 차량 등 결로 현상으로 인해 불편을 겪으신 경험이 있으실 것입니다. 오늘은 겨울철 결로 현상의 원인과 예방 조치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결로현상

결로현상 측정 요소

결로 현상을 알아볼때 중요한 요소가 있습니다. 표면온도, 실내 온습도, 노점온도입니다.

 

표면 온도 : 창문, 문틀, 벽체 등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물체의 표면온도

실내 온습도 : 해당 공간의 온도와 습도

노점 온도 : 이슬점이라고도 하며 수증기가 응결하기 시작하는 온도

 

결로현상 원인

그렇다면 결로현상은 어떤 상황에 발생할까요?

정답은 물체의 표면 온도가 노점 온도 이하로 내려갈 때 발생합니다. 예를 들면, 습한 실내에 시원한 음료가 들어있는 유리잔을 두면 유리잔 표면에 물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현상이 겨울철 창문, 베란다 벽체, 출입문 등에 발생하면 결로 현상이 발생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로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결로가 발생하는 원인을 제거하면 됩니다. 과학적으로 해결하는 두 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면 첫 번째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물체 표면의 온도를 높인다. 창문 등에 결로가 발생할 때 창문의 표면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물체의 결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두 번째 방법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생활하는 주거 공간은 화장실, 주방 등 지속적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공간입니다. 이때 높아진 습도에서 창문 등 차가운 물체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데 실내 습도를 낮게 관리하면 결료 현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결로현상 방지대책

이러한 과학적인 결로 현상 방지법을 기반으로 실생활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실내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자주 환기를 한다.

 - 이러한 방법은 화장실, 주방 등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수분으로 인해 습도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결로 현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혹은 여름철 자주 사용하시는 제습기를 가동하여 습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2. 실내 난방을 통해 내부 벽체 등의 온도를 올린다.

- 겨울철 실내의 난방을 통해 지속적으로 실내 공기의 온도를 높여 결로가 발생하는 표면의 온도를 높인다면 결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난방비 상승의 단점이 있습니다.

 

겨울철 결로 현상은 대부분 추운 날씨로 인해 밀폐된 공간에 지속적으로 수분이 공급되어 발생하게 됩니다. 

추운 겨울철에도 주기적으로 환기를 하여 습도 조절을 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자주 결로가 발생하는 바깥 이중창은 문틈을 살짝 열어 외부와 기류가 잘 통하게 해주시고 베란다의 경우 동파가 우려되지 않을 수준에서 외부 창문을 열어 베란다 습도를 조절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