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 시스템에서 **취출구(air diffuser/outlet)**는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마지막 단계의 장치입니다. 공간의 구조, 냉·난방 방식, 인테리어 등에 따라 그 종류도 다양하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조 취출구의 종류를 설치 위치별, 구조 형태별로 나누어 정리하고, 특히 천장형 취출구의 디테일한 특징까지 소개해드릴게요!
✅ 1. 설치 위치에 따른 취출구 분류
🔷 ① 천정형 (Ceiling Type)
- 복류형
- 아네모스탯형: 동심원 또는 각형 판을 층상으로 배열하여 공기를 넓게 퍼뜨림
- 팬형: 원형 팬 구조로 공기를 천장면을 따라 수평으로 확산
- 라인형
- 브리즈라인형, 캄라인형: 길게 연속된 송풍구, 디자인 효과 탁월
- 슬롯형: 좁고 긴 선형 취출구, 조명과 함께 배치되기도 함
- 다공판형: 천장과 일체화되는 구멍 뚫린 패널 형태
🔷 ② 벽설치형 (Wall Type)
- 축류형
- 노즐형: 구조가 간단하고 도달거리가 김. 넓은 공간에 적합
- 펑커루버형: 기류 방향 조정과 풍량 조절이 가능, 댐퍼 내장
- 베인격자형: 격자 형태로 고르게 분산
- 복류형
- 베인형
- 고정베인형: 방향 고정
- 가동베인형(유니버설형): 방향 조절 가능
- 베인형
- 라인형
- 다공판형: 벽면과 어울려 시각적 간섭이 적음
🔷 ③ 바닥형 (Floor Type)
- 특수 공간(클린룸, 데이터 센터 등)에서 사용. 냉기나 온기가 바닥에서부터 올라오도록 설계됨.
✅ 2. 구조 형태에 따른 분류
구조 형태종류특징
복류형 | 아네모스탯, 팬형 | 다방향 확산, 공기 분산에 효과적 |
축류형 | 노즐형, 펑커루버형, 베인격자형 | 직진성 강함, 도달거리 김 |
라인형 | 슬롯형, 브리즈라인형, 캄라인형, 다공판형 | 인테리어 효과 우수, 긴 공간에 적합 |
✅ 3. 천장 취출구의 상세 종류와 특징
🌟 아네모스탯형
- 구조: 동심원 또는 사각 판을 층층이 배열
- 장점: 2차 공기의 유도 효과로 확산 반경 넓음
- 단점: 도달거리가 짧고 소음이 클 수 있음
- 적용: 일반적인 사무공간, 상업시설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
🌟 팬형
- 구조: 팬 표면에 공기를 부딪혀 수평 확산
- 장점: 냉방 시 적합, 수평기류 유도
- 단점: 균일한 송풍 어려움, 난방 시 온풍이 천장에 머무를 수 있음
- 보완: 팬의 상하 조절로 기류 범위 조정 가능
🌟 슬롯형 디퓨저
- 구조: 폭은 좁고 길이는 1m 이상, 선형 취출구
- 특징:
- 깔끔하고 세련된 인테리어에 적합
- 중앙에 조명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음
🌟 라인형 디퓨저
- 역할: 출입구 또는 창틀 상단에 설치되어 에어커튼 효과
- 기능: 외기 유입 방지, 냉난방 손실 최소화
- 장점: 디자인과 기능성 모두 잡은 형태
✍️ 마무리
공조 설비에서 취출구는 단순한 송풍구가 아니라, 공기의 흐름, 쾌적함, 인테리어까지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설치 위치, 구조 형식, 공간 특성에 따라 올바른 타입을 선택하면 에너지 절약과 실내 환경 개선에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