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2차 소환조사 일정
내란 및 외환 관련 사건의 핵심 피의자로 지목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7월 1일 오전 9시, 2차 소환조사를 받게 될 예정입니다. 이번 일정은 특검이 직접 통보한 것으로, 윤 전 대통령 측이 요청한 연기안은 수용되지 않았습니다.
1. 2차 소환조사 일정과 경위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7월 1일 오전 9시에 출석하라는 통보를 전달했습니다. 당초 윤 전 대통령 측은 7월 3일 이후로 일정을 미뤄달라고 요청했으나, 특검은 일정 조율은 수사 주체의 권한이라며 그대로 강행했습니다.
2. 방어권 보장과 일정 변경 요청
윤 전 대통령 측은 1차 조사 이후 준비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일정 연기를 요청했습니다. 변호인단은 충분한 서면검토 및 방어권 행사 시간을 요구하며 출석 유예를 주장했으나, 특검은 해당 요청이 일방적인 협의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3. 불출석 시 강제조치 가능성
윤 전 대통령이 소환에 불응할 경우, 특검은 체포영장 청구 등 강제수사 절차를 검토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이번 조사는 비화폰 사용, 증거 인멸 의혹 등 추가적인 범죄 혐의에 대한 심층 조사가 예정돼 있어 출석 여부가 중요합니다.
4. 특검과 피의자 측의 기싸움
이번 일정 조율 과정은 수사 주체인 특검과 방어 주체인 피의자 측의 법적 기싸움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특검은 "모든 혐의의 실체 규명에 있어 수사 일정은 조율이 아닌 결정의 대상"이라는 입장을 밝히며 엄정 수사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5. 향후 수사 방향과 정치적 파장
2차 소환 이후 수사는 비화폰 정보 삭제, 관계자 진술 조작 의혹 등으로 확장될 전망입니다. 윤 전 대통령이 다시 출석할 경우 진술 내용에 따라 향후 기소 여부 및 사건 전체의 흐름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정치권의 반응도 주목됩니다.
6. 결론
윤석열 전 대통령의 2차 소환조사는 단순한 절차적 수사를 넘어서, 향후 정국의 흐름을 좌우할 중대한 고비로 평가됩니다. 예정된 7월 1일 조사에 응할지 여부에 따라 특검과의 충돌이 격화될 수 있으며, 강제수사로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