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SI단위와 중력단위(공학단위)의 설명

by notion1772 2025. 1. 19.

 

 안녕하세요, 각종 공학관련 수험서 혹은 전공서적을 보시면 책의 제목에 [SI단위 적용]과 같은 내용을 보신적이 있으실 것입니다. 하지만, 막상 책을 보다보면 SI단위 뿐만 아니라 중력단위에 대해서도 같이 나오곤 합니다.

비전공자 혹은 오랜만에 다시 공부를 시작하시는 입장에서 이 부분이 헷갈리면서도 이해가 가지않으실텐데요 이러한 두 단위 체계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 절대단위

 우선, SI단위와 중력단위를 설명하기 앞서 가장 중요한 단위체계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절대단위입니다.

절대단위를 쉽게 설명하자면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이 우주공간의 어느 곳에 있던 그 물체가 가지는 변하지 않는 불변의 물리량을 절대단위라고 합니다. 예시로 우리가 자주 혼용하는 '무게' 와 '질량'이 있습니다. 무게는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라는 행성의 영향권에서 측정한 물리량으로 이 물리량은 달에 가게 되면 1/6수준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하지만, 질량은 우리가 지구 뿐만 아니라 달 혹은 아주 먼 행성에 가도 똑같이 측정되는 절대불변의 단위입니다.

 

○ 중력단위(공학단위)

 중력단위는 위에서 설명한것과 같이 절대단위계와는 다르게 중력이라는 물리량이 반영된 단위계입니다. 중력단위계의 기본단위는 길이, 힘, 시간입니다. 중력단위에서 자주 헷갈리는 1kgf는 어떻게 다를까요? kgf는 질량에 중력이 반영된 단위로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할 수 있습니다. 

중력단위

 

○ SI단위

SI단위란 쉽게 설명하면 미터법을 기준으로 국제적으로 통일한 단위로서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단위체계입니다.기본단위로는 미터(m), 킬로그램(kg), 초(s), 암페어(A), 켈빈(K), 물질량(mol), 칸델라(cd) 총 7가지의 기본 단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기본단위를 통해 가속도, 힘 등을 유도하게 되는 것입니다.

 

위와  같이 물리량을 설명하는 단위체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해당 내용을 좀 더 이해하기 위해 밀도, 동력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두 개의 물리량은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 밀도

밀도

※ 동력

동력

 

이상으로 물리량을 나타내는 단위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